<동영상> 6,25 한국전쟁 컬라 다큐영화>
상태바
<동영상> 6,25 한국전쟁 컬라 다큐영화>
  • www.jtbc.biz
  • 승인 2016.01.26 0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6.25 한국잔                      6.25 전쟁 중에 서울 수복 자료 (영상캡처)

컬러영상으로 본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The Korean War in Color'. 1950년 6월 25일(주일) 새벽 4시경, 중국의 마오쩌둥과 소비에트 연방의 스탈린의 지원을 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소비에트 연방에서 제조한 탱크로 38선을 넘어 남침해 왔다. 오전 9시경에는 개성 방어선을 격파하고 당일 오전에 동두천, 포천을 함락시켰다.

Like Us on Facebook

26일 오후에 의정부를, 27일 정오에는 이미 서울 도봉구의 창동 방어선을 넘고 있었다. 창동 방어선이 뚫린 대한민국 국군은 강북구의 미아동에 있는 미아리 고개에 미아리 방어선을 구축하였으나 조선인민군의 전차에 의해 붕괴되었다. 28일 새벽 2시 30분에는 한강에 있던 한강대교가 폭파되었다. 

이후 서울에는 붉은 깃발이 내걸렸다. 7월 14일에는 대한민국 국군의 지휘권을 미군에게 넘겨 주었다. 정부는 대전에서 대구를 거쳐 부산까지 이전했다. 

1950년 9월 15일에는 인천 상륙 작전을 펼치고, 같은 해 9월 28일에는 낙동강 방어선을 넘었고, 10월 19일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 평양을 함락하였으나, 중공군의 개입으로 전세가 역전되었다.

▲ 6.25 참전 용사 중에 생존자 한국방문 번사자 묘지에 참배. 

아래 내용은 "위키백과"에서 가져왔음.

한국 전쟁(韓國戰爭, 표준어: 6·25 전쟁[8], 문화어: 조선 전쟁/조국해방전쟁[9], 영어: Korean War, 중국어: 朝鮮戰爭, 朝戰, 일본어: 朝鮮戦争, 러시아어: Корейская война)

1950년 6월 25일(주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불법으로 기습침공하면서 발발한 전쟁이다.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제3차 세계대전으로 비화될 수 도 있었으나,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반공 양-강 진영으로 대립하게 된 세계의 냉전적 갈등이 열전으로 폭발한 대표적 사례로, 냉전(冷戰)인 동시에 실전(實戰)이었으며, 국부전(局部戰)인 동시에 전면전(全面戰)이라는 복잡한 성격을 가졌다. 이는 국제연합군과 의료진을 비롯해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까지 관여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대의 국제전이다.

미리 중화인민공화국 마오쩌둥과 소비에트 연방 스탈린의 협조와 지지를 얻은 김일성은 남로당의 대한민국 내 활동과 우방인 소련의 지지에 고무되어 1950년 6월 25일 38도 선과 동해안 연선(沿線) 등 11개소에서 경계를 넘어 38선 이남으로 진격하였다.

              6.25전쟁 직후 UN군의 참전을 결의하는 UN안전보장 이사회. 1950년.

이는 때마침 냉전으로 긴장되어 있는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친 바, 파문은 참으로 전에 없던 것이었다. 조선인민군의 대공세에 유엔은 미국을 주축으로 바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호를 의결하고 이 전쟁에서 한국을 원조하기로 결정하고 파병하였다.

7월 7일 더글러스 맥아더 원수를 총사령관으로 하는 유엔군이 조직되었다. 인민군은 무방비 상태였던 중부지방과 호남지방을 삽시간에 휩쓸었다. 연합군은 낙동강 방어선에서 배수진의 결전을 전개하였다. 연합군은 더글러스 맥아더의 인천 상륙 작전을 시작으로 대대적인 반격을 개시하여 평양에 이어 압록강 부근까지 이르렀으나,

▲  참전국 국기

중국인민지원군(중공군)이 개입하여 전세가 다시 뒤집히게 되었으며, 그 와중에 남로당의 남한 내부 전복을 위한 활동과 이를 제압하려는 대한민국 정부의 충돌로 거창 양민학살 사건, 국민 방위군 사건 등의 사건이 일어났다. 이후 3년 간 지속된 교전으로 수많은 군인 및 민간인이 사상하였고, 대부분의 산업 시설들이 파괴되는 등 양측 모두가 큰 피해를 입었으며, 이념적인 이유로 민간인들의 학살이 자행되고 지주들의 처벌과 그 보복이 반복되면서 남·북 간의 적대적인 골이 깊어지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으로 인하여 설정된 한반도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휴전하였다. 현재까지 서류상으로 휴전 상태로, 협정의 체결 이후에도 쌍방 간에 크고 작은 군사적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