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사용량이 지난 10년 동안 4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
상태바
전력사용량이 지난 10년 동안 4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
  • 에너지경제신문, 천근영 기자
  • 승인 2017.07.15 21: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체 전력사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산업용이 56.6%로 가장 많았다. 2006년(52.5%)과 비교하면 4.1% 포인트 늘었다
▲ 자료화면, 권력파워, 공사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선거공약 영향으로 신고리 5,6호 공사현장.

우리나라의 전력사용량이 지난 10년 동안 4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용 전력사용은 2013년 이후 정체된데 비해 산업용은 10년간 꾸준히 늘어나면서 가정용의 두 배 수준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Like Us on Facebook

9일 (2016.10.09)  한전이 집계한 ‘10년간 국가 전력사용량 변화’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 전력사용량은 2006년 34만8917GWh에서 48만3655GWh로 38.7% 늘었다.

용도별로는 등유 등 다른 에너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가가 낮은 농업용 전력사용량이 7636GWh에서 2016년 1만5702GWh로 두 배 이상 늘었다.

같은 기간 산업용은 18만367GWh에서 27만3548GWh로, 일반용은 7만7809GWh에서 10만3679GWh로 각각 49.4%와 33.2%가 늘었다. 

주택용은 5만3912GWh에서 6만5619GWh로 21.7% 증가했다. 주택용은 2013년 이후 증가세가 다소 주춤한 상태다.

주택용 전력사용량은 2013년 6만5815GWh로 10년 내 가장 많은 사용량을 보였다가 2014년 6만4457GWh, 2015년 6만5619GWh로 내려앉았다.

주택용 전력사용량이 주춤한 것은 과거와 달리 인구가 크게 늘지 않는 데다가 주택용에는 다른 용도의 전기요금과 달리 누진제가 적용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기를 많이 써서 누진구간을 한 단계 넘어가게 되면 전기요금은 훨씬 큰 폭으로 오르기 때문에 전력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한전 측은 "주택용 전기요금의 연평균 증가율은 2.4%로, 2006년 이후 인구증가율 연평균 0.58%를 웃도는 수준"이라며 "주요 가전제품의 보급이 늘고 1∼2인 가구 증가 등 가구구성원이 변화하면서 1인당 전력사용량이 증가 추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 공사가 중단된, 신고리 5.6 공사 현장 자료

전체 전력사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산업용이 56.6%로 가장 많았다. 2006년(52.5%)과 비교하면 4.1% 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농사용은 2.2%에서 3.2%로 증가했다.

반면 일반용은 22.3%에서 21.4%, 주택용은 15.5%에서 13.6%로 줄었다. 심야전력도 2010년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2006년 1만8818GWh에서 2010년 1만9690GWh까지 늘었던 심야전력은 2011년 1만8607GWh로 떨어진 뒤 2015년 1만475GWh까지 감소했다.

한전 측은 "심야 난방수요가 크게 늘면서 심야 전력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요금정책이 선회했기 때문"이라며 "높은 수준의 요금 인상과 신규계약 대상 제한, 신규계약자의 가구당 계약전력 제한 등이 영향을 줬다"고 했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