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뉴스는 눈길을 사로잡는 조작된 기사.
상태바
가짜 뉴스는 눈길을 사로잡는 조작된 기사.
  • 박동현 기자
  • 승인 2018.12.07 14: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IT회사인 구글이 운영하는 유튜브에 동영상을 올리는 것을 허가 하거나 인준하지는 않는다. 유튜브에는 수억 종류의 동영상 수백억 개가 올려져 있고, 규제가 별로 없다.
▲ JTBC 화면 캡처

가짜뉴스는 언론사의 뉴스로 위장되어 유포된다. 추적해 보면 개인 블러그에서 시발하여 유포되는 경우도 있고, 또한 인터넷 매체지만, 지속적으로 출처가 불확실한 뉴스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중에 특정교회나 목사를 지지하는 논조를 유지하기도 한다. (정직하지 않다는 것을 알수 있다)

Like Us on Facebook

종교에 빠지면 영황력 있는 교주나, 과거 능력이 나타났던 목사를 무조건 믿는 경향이 있듯이 자신이 열독하는 뉴스가 가짜뉴스 일지라도 사실로 믿기도 하고, 정치적 목적으로 유통시키기도 한다. 이런 행위들은 정직을 원하시는 하나님으로 부터 멀어지는 행동들이다. 

목사들은 설교 중에 어디서 들었거나 읽은 예화를 사용한다. 그러나 그 예화가 사실이 아니고 지어진 이야기 일 수 있다. 의도적으로 교인을 속인 것은 아니지만, 정당화 할 수는 없다. 목사는 성경말씀을 풀어서 설교를 해야 하고 확실하고 정확한 말을 해야하는 성직자이다.

가짜뉴스의 유통시장 유튜브

▲ 유튜브 로고

유튜브에 올려진 동영상은 언론도 아니고 방송도 아니다. 그렇지만. '000 TV' 라는 상호를 사용하기도 한다. 보수 성향 계열의 '000 TV' 는 진짜 공영방송 스튜디오 처럼 영상으로 화려하게 꾸며 진짜 방송국 같은 느낌을 준다. 허가가 필요없는 '1인방송'의 시대가 열린 것으로 볼 수있다.

공영방송은 이동 중에 스마트폰으로 시청하기는 어렵지만, 구굴의 유튜브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것을 골라볼 수 있다. 전철에서 나이든 사람들이 유튜브를 통해 보수성향 시사방송을 시청하는 것을 흔하게 볼 수있다. 

월 편균 후원금이 2500 만 원을 넘긴 우파 태극기 관련 '000 TV' 가 실재로 스튜디오를 강남으로 옮기고 공영방송과 구분이 안되는 화려한 스튜디오를 배경으로 전문가 대담 형식으로 문재인 정부 비판을 쉬지 않고 하고 있다. 

수년 사이에 나타난 이런 성향의 1인 유튜브 방송이 수십 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로운 시장변화로 볼 수있는 것은 일명 태극기 부대 성향의 연령층이 시청자이고 후원자 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IT회사인 구글이 운영하는 유튜브에 동영상을 올리는 것은 자유다. 유튜브에는 수억 종류의 동영상 수백억 개가 올려져 있고, 규제가 별로 없다. 가짜도 얼마든지 올릴 수 있다.

유튜브는 미확인 개인 가짜뉴스의 천국이라고 볼 수도 있다.

시청자가 분별하여 시청 해야만한다. 일반방송에서는 송출할 수없는 정부 정치인을 근거 없이 잔짜처럼 속여 비판하는 동영상물도 적지 않다. 심지어 북한이 올린 동영상도 있다.

위키백과에서 참고한 ‘가짜뉴스(Fake news)는

프레데릭 버 오퍼(Frederick Burr Opper)가 1894년 삽화로 만든 가짜뉴스의 다양한 형태의 유포자들, 가짜뉴스(Fake news)는 사람들의 흥미와 본능을 자극하여 시선을 끄는 황색언론(yellow journalism)의 일종이다.

인터넷 매체를 통하여 사기(詐欺)기사들이 급속도로 유포된다. 최근 위키피디아 창립자 지미 웨일스도 가짜뉴스와 전쟁을 선포하였다.

가짜뉴스는 재정적 또는 정치적으로 이득을 얻으려고 오도된 의도로 작성되고 발간 유통되며, 종종 주목을 끌기 위해 선정(煽情)주의, 과장, 또는 거짓 표제를 사용한다. 의도적으로 오도된 가짜 뉴스는 풍자 또는 패러디와는 다르다.  풍자 비유는 관객에게 즐거움을 주고 유머 감각을 길러주기 위한 것이다.

가짜 뉴스는 종종 눈길을 사로잡는 헤드라인이나 완전히 조작된 뉴스 기사를 사용하여 독자층, 온라인 공유 및 인터넷 클릭 수익을 증가시킨다. 후자의 경우 온라인상의 "clickbait" click과 bait(미끼)의 합성어로서 선동적이거나 도발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사람들의 주목을 끌거나 클릭을 유도하는 링크들, 우리말로는 낚시미끼다.

헤드라인과 유사하며 게시된 이야기의 진실성과 상관없이 활동에서 생성된 광고수익에 의존한다. 가짜뉴스는 또한 심각하게 언론 보도를 훼손하고 언론인이 중요한 뉴스 기사를 다루기 어렵게 만든다. 

온라인 광고 수익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정치 양극화가 심화되었으며, 페이스 북, 뉴스 피드를 중심으로 한 소셜 미디어의 인기가 모두 합법적인 뉴스에 대한 경쟁을 제공하는 가짜 뉴스의 확산에 연루되어 있다. 버즈 피드(Buzzfeed)의 분석에 따르면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관한 20대 가짜 뉴스 기사가 19개 주요 언론 매체의 선거에 관한 20대 뉴스 기사보다 페이스 북에 대한 참여가 더 많았다.

알려진 출판사(언론사)가 아닌 익명으로 호스팅 된 가짜뉴스 웹사이트는 또한 명예훼손에 대한 가짜뉴스의 출처를 기소하기가 어렵다. 가짜뉴스의 관련성은 정치에서 증가했다. 그에 대한 응답으로, 연구자들은 유저들이 가짜뉴스를 찾아낼 수 있도록 돕는 심리적 "백신" 개발을 탐구해 왔다. 

가짜뉴스는 신조어(新造語)이다.

전통적인 뉴스, 소셜 미디어 아닌 가짜뉴스 웹사이트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유형의 뉴스는 실제로는 근거를 찾기 어렵다. 마이클 라두츠키, (CBS,USA의 프로듀서 60분 쇼)는 그의 쇼는 "가짜뉴스(풍자/페러디)라도 유용하고 거짓 문화에 엄청난 견인력과 인기 매력이 있고, 수백만의 사람들이 소비하는 이야기"로 간주했다.(악의적인 가짜뉴스가 아니고 풍자이다)

그는 "정치인들이 싫어하는 풍자 이야기로 언론에 맞서 발동한 가짜뉴스"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가이 Campanile, 또한 60분 생산자는 "우리가 말하는 것은 풍자로 만들어지는 이야기이다.

대부분의 측정에 의해, 고의적으로, 그리고 어떤 정의에 의해서도 그것은 거짓말이다." 가짜뉴스의 의도와 목적은 중요한다. 어떤 경우에 가짜 뉴스로 보이는 것은 사실 과장을 사용하고 사실이 아닌 요소를 소개하는 뉴스 일 수 있으며 속이는 것이 아니라 재미있게 하거나 강조하기 위한 것입니다. 선전은 가짜뉴스일 수도 있다.

Claire Wardle of First Draft News는 일곱 가지 유형의 가짜 뉴스를 식별한다.

1.풍자 또는 패러디 ("해를 끼칠 의도는 없지만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다")

2.잘못된 연결 ('헤드라인이 본문, 시각자료와 연결되지 않음')

3.오해의 소지가 있는 내용 ("문제 또는 개인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의 오도된 사용")

4.허위 콘텐츠 ("진짜 콘텐츠가 허위 콘텐츠 정보와 공유되는 경우")

5.사기 콘텐츠 ("진짜 소스가 가장 된 경우 가짜 소스")

6.교묘한 콘텐츠 (교묘한 사진과 같이 "진짜 정보 또는 이미지가 속이기 위해 조작된 경우")

7.조작된 컨텐츠 ("새 컨텐츠는 100 % 거짓이며, 속이고 해를 입히기 위해 고안 되었습니다")

미국의 상황과 2010 년의 선거 과정에서 가짜 뉴스는 상당한 논란과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일부 논평가는 도덕적 공황 또는 대중적 히스테리와 공공의 신뢰에 대한 피해에 대해 우려하는 일부 논평가들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2017년 1월 영국 하원은 "가짜 뉴스의 증가 현상"에 대한 의회의 조사를 실시했다.

2015년에 시작된 국제 사실 확인 네트워크(International Fact-Checking Network, IFCN)는 사실 확인을 위한 국제 협력 노력을 지원하고, 교육을 제공하며, 원칙의 규약을 발표했다. 2017년에는 저널리즘 조직을 위한 신청 및 심사 프로세스를 도입했다.

IFCN의 검증 된 서명자 중 한 명인 비영리 독립 언론인 The Conversation은 사실 확인 절차를 설명하는 짧은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는데, 여기에는 "추가 견제 및 균형, 두 번째 학술 전문가의 맹검견 검토, 추가 조사 및 편집 감독 "을 요구한다.

2017학년도부터 대만의 어린이들은 선전과 근원 평가에 대한 중요한 독서를 가르치기 위해 고안된 새로운 커리큘럼을 연구한다.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라고 불리는 이 코스는 새로운 정보 사회에서 저널리즘 교육을 제공한다.

2015년 이후 언론 등 SNS에서 가짜뉴스가 유행하고 있으며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가짜뉴스도 있고, 한국에도 출처를 신뢰할 수 없는 가짜 뉴스들이 많다. 정직하고 정통적인 언론들은 전세계에서 진화한 가짜뉴스를 비판했다.

2018년 연구에 따르면 가짜뉴스는 진짜뉴스보다 훨씬 더 빨리, 멀리, 널리 전파된다. 이는 가짜뉴스가 진짜뉴스보다 더 새로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통념과는 달리 인터넷의 로봇들은 가짜뉴스건 진짜뉴스건 동등하게 확산시키기 때문에, 인간이 가짜뉴스를 더욱 퍼트리는 장본인으로 보인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