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한류 열풍, 어떻게 볼 것인가 오세열 교수
상태바
칼럼 한류 열풍, 어떻게 볼 것인가 오세열 교수
  • 박동현 기자/이대웅 목사
  • 승인 2023.09.18 08:49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류 콘텐츠가 가장 많이 수출되는 지역은 단연 중화권이다. 2017년 기준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으로의 한류콘텐츠 수출액은 38억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44.7%를 차지한다. 

미국의 미래학자 피터 드러커는 “21세기는 문화산업에서 각국의 승패가 결정될 것이고 승부처는 바로 문화산업이다”라고 말했다. 30년 전만 해도 한국의 대중문화는 서구 대중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곳으로 간주되어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한국의 드라마와 K-POP이 아시아국가 및 세계 여러나라에서 인기와 사랑을 받는다는 사실에 우리 스스로도 놀랐다.

Like Us on Facebook

한류(Korean Wave)는 ‘외국인들이 한국 대중문화 및 순수문화를 좋아함으로써 대한민국의 각종 문화가 전세계에 퍼지며 알려지는 현상’을 뜻한다. 한류의 관련분야는 음악, 영화, 드라마 같은 대중문화로부터 패션, 화장품, 한식, 관광, 무술, 산업 등 한류 파생상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한류라는 용어는 중화권에서 1990년대 후반 H.O.T. 신드롬이 일어났다. 

한국의 아이돌 댄스 그룹과 한국 드라마가 중화권에서 청소년층에게 인기를 끌면서 생겨난 신조어다. 2012년에 전혀 예상치 못한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의 전세계적인 성공은 한류의 힘과 영향력이 전 지구적 현상이라는 사실을 입증해 주었다. 

싸이는 기존 한류의 주역이던 한국연예인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아이돌그룹의 멤버들은 근육질미소년과 날씬한 미소녀류의 가수들이다. 비쥬얼이 받쳐주고 노래와 춤이 뛰어난 아이돌이 대세였지만 이들과는 거리가 먼 싸이는 배가 나오고 자녀가 있는 30대 중반의 아저씨이다. 

그러나 싸이가 유트뷰 조회수 1억뷰를 달성하며 성공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대중은 지혜있는 자, 강인한 자, 완벽한 자, 엄청난 부를 가진 자가 아닌 어리석은 자, 약한 자, 조금 부족한 자, 평범한 자가 이루어낸 스토리에 감동한다. 

필자 오세열 교수

오늘날은 아이돌(idol)에 열광하면서도 언더독(underdog: 부족한 자)에 관심을 쏟는 시대이다. 싸이의 강남스타일도 바로 언더독 스토리로 성공한 케이스다. 한국의 대표적인 부촌인 강남을 비웃는 말춤 스토리는 한국을 넘어 전 세계적인 호응을 받았다. 

2017년에 들어서자 강남스타일 자리가 BTS라는 이름의 남성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으로 대체되었다. BTS는 빅뱅, 엑소, 트와이스등 다른 아이돌 그룹과 달리 해외에서 먼저 주목을 받은 후 그 인기가 국내로 전이된 케이스다.

한류 콘텐츠가 가장 많이 수출되는 지역은 단연 중화권이다. 2017년 기준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으로의 한류콘텐츠 수출액은 38억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44.7%를 차지한다. 

일본은 17억달러로 19.3%의 비중을 차지하며 중화권을 뒤따랐다. 한류콘텐츠는 동북아시아에서만 60%이상이 소비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과 중국은 전통적으로 한국과 정치적 • 외교적마찰을 빈번히 경험해 왔다. 일본과는 일제 강제징용배상판결, 중국은 사드배치등이 발표 등이 발표되자 혐한류 기조가 형성되었다. 

중국유명배우 장궈리는 “중국은 지금까지 많은 외침을 당했지만 문화적으로 노예가 된 적은 없다”며 “중국 방송이 한국드라마를 계속 방송하고 찬양한다면 그것은 중국을 한국의 문화노예로 만드는 것”이라며 한류에 대한 반감을 드러냈다. 

한국은 원조 받던 국가에서 원조하는 나라로 도약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문화산업도 크게 성장했다. 대중문화를 필두로 한 한류는 한국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는 일종의 소프트파워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배용준이 열연한 드라마 <겨울연가>로 인해 일본열도가 들끓었다. 1년 세금만 100억원 납부한다는 욘사마 배용준이 일본을 방문하자 영국 더타임스는 ‘일본인들이 오랜 적대국의 스타를 환영했다. 

영국의 축구스타 베컴이나 미국 영화배우 톰 크루즈가 왔을 때도 이 정도는 아니었다. 일본인들의 스타 사랑이 유별나지만 이런 히스테리 증상은 일찍이 없었으며 더욱이 그 주인공이 한국이라는 사실은 놀랄 만하다’고 보도했다. 일본이 메이지유신이후 100년동안 서구의 근대300년 변화를 따라잡았다면 한국은 1960년대 이래 불과 30년만에 서구의 300년을 거뜬히 추월했다. 

한국은 모든 분야의 속도전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것은 이미 입증된 사실이다. 이영애가 열연한 한류드라마 <대장금>이 중동에 진출하자 이란에서 특히 큰 인기를 누렸다. 이란 TV에서 방영된 <대장금>은 테헤란에서 90%이상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이란의 많은 단체에서 이영애를 초청하고자 했으나 이슬람 성직자회의에서 초청불가 결정을 내렸다. 

그 내막은 이영애가 이란에서 대중신앙으로 존경받아온 마호메트의 고명딸 파티마의 인기를 능가하는데 대한 조바심이 작용했다. 프랑스 국영방송은 ‘한국, 감춰진 저력’이란 제목의 다큐멘터리를 통해 K-POP 스타들의 활동상 등 한류열풍을 보도했다. 파리 루브르박물관앞에서 벌어진 K-POP 팬들의 시위는 한류열풍이 아시아를 넘어 유럽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K-POP 열성팬들이 동방신기, 슈퍼쥬니어, 소녀시대, 샤이니 등 한국 K-POP 스타들의 공연티켓을 구하지 못했다며 공연을 하루 더 해 달라는 시위를 벌였다. 

한국의 초등학생들 장래희망 1위는 아이돌이 되는 것이다. 한국에서 성공을 꿈꾸는 지망생이 줄잡아 100만명에 이르지만 한해 동안 데뷔한 신인 아이돌은 60개 팀 약 300명에 불과하다. 세계적 스타가 되기 위한 열정은 클래식 음악분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세계 3대 콩쿠르 중 하나인 퀸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바리톤 김태한이 우승한 것을 비롯해 유수 콩쿠르에서 한국인이 석권하고 있다. 조성진이 피아노 부문 쇼팽콩쿠르에서 한국인으로서 처음 우승했다. 

한류는 사전에 준비하고 계획된 성공이라기보다는 우연히 이루어진 대박이란 측면이 강하다. 한류가 일시적현상(fad)인가 장기간 형성된 문화흐름(trend)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 한류형성초기에는 한류지속 가능성에 대한 회의가 있었지만 20년이상 이어온 한류를 하나의 문화조류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한류의 내용물이 다양화되고 대상지역이 다변화됨에 따라 문화콘텐츠 산업 수출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로 확산된 한류열풍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한류브랜드의 세계화와  문화콘텐츠의 품질경쟁력을 꾸준히 높여가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진천 2023-10-06 21:18:57
Power of activity give us a lot of thought
In this article

백봉기 2023-09-18 19:05:57
멋진글 감사합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