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치료 접근, 고규현 박사 연구
상태바
치매 치료 접근, 고규현 박사 연구
  • 박동현 기자
  • 승인 2024.02.13 1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규영(1957년~)은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이다. 전북대학교 의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코넬대와 인디애나주립대에서 5년 간의 박사후과정을 거친 뒤 전북대 의대 교수, 포스텍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KAIST 특훈교수/기초과학연구원 혈관 연구단장으로 재직 중이다.
치매 일러스트
치매 일러스트

2023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에 고규영 IBS 혈관 연구단장 선정이 선정됐다.

Like Us on Facebook

치매를 유발하는 뇌척수액 노폐물 주요배출경로를 세계 최초 규명,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예방과 치료 연구에 새로운 개념 제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태식)는 2023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고규영 한국과학기술원 특훈단장(기초과학연구원 단장, 65세)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고규영 단장은 뇌 속 노폐물 배출경로, 림프절에 도달한 암세포 생존전략을 규명하는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이루고,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Nature), 사이언스(Science) 등에 발표하여 림프관 분야에서 연구동향을 선도하는 등 우리나라 연구수준을 세계적으로 드높이는 데 기여를 하였다.

고규영 단장은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뇌 속의 노폐물이 뇌 밖으로 배출되는 주요 경로가 뇌 하부에 있는 뇌막 림프관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였다. 또한 같은 연구에서 나이가 들어갈수록 노폐물 배출능력이 떨어지는 뇌막 림프관 기능 저하를 함께 확인하였다.

이 뇌척수액은 위의 그림에서 붉게 표시된 곳에서 만들어져 나오고 arachnoid villi라고 쓰여서 있는 두개골 내의 혈관으로 흡수되면서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있다.<br>
이 뇌척수액은 위의 그림에서 붉게 표시된 곳에서 만들어져 나오고 arachnoid villi라고 쓰여서 있는 두개골 내의 혈관으로 흡수되면서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뇌의 인지기능 저하,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고규영 단장은 림프관 경유 암세포가 림프절로 전이하기 위해 지방산을 핵심 연료로 활용한다는 사실도 최초로 규명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암세포가 포도당을 주 에너지원으로 쓴다는 것이 정설이었으나 고규영 단장은 기존 암 연구와는 다른 접근법을 적용하여 면역기관인 림프절에 전이되어 성장하는 암세포의 생존전략을 규명하였고 이 연구결과는 향후 암 치료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토대가 되고 있다.

이 외에도 고규영 단장은 암성장과 림프절 전이에서의 암혈관과 림프관의 특성, 쉴렘관(각막주위 림프관)의 항상성 유지와 녹내장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등 림프관 관련 연구에서 선도적인 성과를 도출하였다. 내부·외부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다.

고규영 단장은 연구 중심 의사과학자로서 한국과학기술원 의과학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의과학분야 석·박사생 등 인재를 양성하고 국제혈관생물학회(IVBM)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2015년 7월 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연구단 단장으로 선정되어 활발한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고규영 박사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은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탁월한 연구성과를 이룬 과학기술인을 발굴하여 국민들에게도 널리 알려 명예와 자긍심을 높이고자 2003년부터 시상해온 우리나라 최고 권위의 과학기술인상이다.

올해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의 경우 지난해 말부터 공모와 발굴, 추천을 통해 접수한 후보자 총 23명을 대상으로 3단계 심사과정(전공자심사–분야심사–통합심사)을 거쳐 최종적으로 수상자 1명을 선정하였다.

수상자는 연구개발 업적뿐 아니라 우리나라 경제발전 기여도, 국민생활 향상에 미친 영향 등을 종합평가하여 선정되었으며, 그동안 총 46명(’23년 수상자 포함)이 본 상을 수상하였다.

이 뇌척수액은 위의 그림에서 붉게 표시된 곳에서 만들어져 나오고 arachnoid villi라고 쓰여서 있는 두개골 내의 혈관으로 흡수되면서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있다.

고규영(1957년~)은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이다. 전북대학교 의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코넬대와 인디애나주립대에서 5년 간의 박사후과정을 거친 뒤 전북대 의대 교수, 포스텍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KAIST 특훈교수/기초과학연구원 혈관 연구단장으로 재직 중이다.  기사출처 'IBS 기초과학 연구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