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환 국군포로 정착지원 (사)북한인권정보센터,
상태바
귀환 국군포로 정착지원 (사)북한인권정보센터,
  • 박동현 기자
  • 승인 2023.07.25 00: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94년 조창호 중위의 첫 귀환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80명의 국군포로가 북한을 탈출하여 대한민국으로 귀환하였다. 안타깝게도 현재 80명의 귀환 국군용사들 중 13명만이 생존해 있으며 평균 연령이 90세에 달하고 있다.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현충원을 참배한 귀환 국군용사(제공 : 북한인권정보센터)

 (사)북한인권정보센터(이하 NKDB)는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용산 전쟁기념관 2층 아카이브센터 앞 복도에서 7월 25일(화요일)부터 7월 30일(일요일)까지 6일간 귀환 국군포로의 생애를 담은 ⌜잊혀진 70년, 우리는 그곳에 있었다⌟전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통일부의 후원으로 진행되며 총 84컷의 일러스트로 이루어져 남녀노소 쉽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Like Us on Facebook

 동 전시는 국군으로 6.25 전쟁에 참전했던 귀환 국군용사 유영복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NKDB는 2008년, ‘귀환 국군포로의 한국정착과 생애 지원’을 처음 시작해 16년간 귀환 국군포로 정착과 생애를 전담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는 국방부의 위탁으로 해당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NKDB의 신효선 정착지원본부 본부장은 “정전협정을 기념하며 전쟁기념관을 방문하는 많은 분들이 이번 전시를 통해 정전협정과 포로교환 이후에도 결국 돌아오지 못하고 평생을 북한에 억류되어 살았던 국군포로와 그 자손들의 아픔을 한 번쯤은 기억해 주시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번 전시를 진행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2021년에는 한국전쟁 국군포로와 그 후손에 대한 인권침해 우려가 처음으로 명시된 북한인권결의안이 유엔 총회와 인권이사회에서 채택되어 국제사회가 국군포로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한국전쟁 휴전협정 이후 포로교환을 통해 유엔군 측은 공산군 83,258명(북한군 76,119명, 중공군 7,139명)을 송환했지만, 공산군은 유엔군 13,469명만을 본국으로 송환했으며, 그중 국군은 8,343명에 불과했다. 당시 한국으로 송환되지 못한 국군포로의 규모는 약 7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북한정권은 북한에는 단 1명의 국군포로도 없다는 주장으로 일관하고 있다.

 1994년 조창호 중위의 첫 귀환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80명의 국군포로가 북한을 탈출하여 대한민국으로 귀환하였다. 안타깝게도 현재 80명의 귀환 국군용사들 중 13명만이 생존해 있으며 평균 연령이 90세에 달하고 있다. 이에 NKDB는 “미송환 국군포로의 명예 회복과 송환은 꼭 이루어져야 하며 시민사회와 정부는 국제기구와 연대하여 국군포로 생존자와 유해 송환을 적극 요청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올해로 설립 20주년을 맞은 NKDB는 하반기 북한인권 박물관 개관을 앞두고, 북한인권 관련 민간 기록과 물품을 기증받는다고 지난 6월 30일 알렸다. NKDB는 2003년 북한인권 기록과 과거청산, 피해자 구제를 목표로 설립된 단체로 현재 14만 여건의 북한인권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외 최대 규모다.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현충원을 참배하고 있는 귀환 국군용사(제공 : 북한인권정보센터)

<전시 개요>

■ 제목 : 잊혀진 70년, 우리는 그곳에 있었다
■ 장소 : 용산 전쟁기념관 2층 아카이브센터 앞 복도
■ 일정 : 2023.07.25.(화)~07.30.(일) 9:30~18:00
■ 주관 : (사)북한인권정보센터
■ 후원 : 통일부
■ 주요 내용 : 국군포로(귀환용사) 생애를 담은 84컷의 일러스트 전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